티스토리 뷰

Column

중국의 경제 성장에 대해

G. B. 2020. 8. 22. 09:54

간혹 중국이 과거와 달리 경제 성장하는 것을 보고 불만을 갖는 자가 있다.(아무리 중국 정부가 통계 조작을 한다고 비판해도 말이다.)
이 때문에 신세계 질서가 생긴다니 식으로 판단하는 자도 있을 것이다.
그런데 사실 중국의 경제 성장한 건 과거 시절로 회귀하는 것 밖에 안된다.
한 때 중국은 19세기만 해도 세계 경제를 영향을 끼쳤던 경제 대국이었기 때문이다.
오죽하면 중국은 잘하면 영국보다 일찍 공업화를 일으킬 수 있었다고 한다.(이 때문에인지 중국인 마저 중국이 한국 보다 훨씬 자본주의 경제 체제라고 할 정도다. [참고] 거기에다 중국은 덩샤오핑 부터는 친자본주의 국가가 됐다.)
그렇다면 왜 중국이 한때 왜 못살았냐?
19세기 때 영국과 청나라가 무역 하면서 영국이 청나라에 대한 무역 적자가 늘자 이에 대해 해결하기 위해 아편을 수출 했는데 그 아편의 수입이 늘면서 인플레이션이 생기니까 화폐의 가치가 쓸모 없어져서 경제 파탄이 난 것이다. 덕분에 청나라 내부에서 아편 중독에 빠진 자들이 늘어나서 중국의 공업 발전이 더디게 되고 일본이 일찍히 공업화를 이루게 되는 결과가 되었다.(거기에다 중국은 역대 왕조마다 부패가 심했으니 왜 아편에 빠진자가 늘어났는지 짐작이 기능할 것이다.)
이 때문에 장개석이 중국을 통치할 시기에는 화폐 가치가 낮았다고 한다.
그렇다면 현재에 들어서 왜 중국이 발전하는 것일까?
마오쩌둥이 죽은 후 덩샤오핑이 서구 자본을 유입하면서 발전하게 된 것이다.(이래서인지 마오주의자들은 덩샤오핑 이후 부터 중국을 사회주의 국가로 볼 수 없다고 한다.)
사람들이 이를 보면 어떤 사람은 현재 중국의 발전에 대해 병주고 약준다고 여길 것이다.
그러나 지금 중국 경제는 아무리 발전을 한다고 해도 과거와 같은 영광을 얻으려면 생각보다 시간이 오래 걸리고 한계가 있을 것이다.
실제로 중국의 경제 발전은 과거 일본의 거품 경제와 유사한데 만약에 일본과 같이 거품이 꺼지면 중국의 경제가 폭망할 수 있다.
거기에다 중국은 예전과 달리 점차 경제 성장율이 줄어들고 있으니 더욱 그럴 것이다.(하긴 미국이 중국보다 사회주의 실현하기 유리한 조건을 갖고 있다고 한다. 그 이유는 중국보다 미국이 자본주의가 발달되어서 그런 것으로 보인다. 중국은 청나라 시기 때 인플레이션을 겪은 이후 부터 한동안은 공업화가 제대로 이뤄지지 못하고 경제 발전이 늦어졌으니 말이다. 그래서인지 중국 체제는 경제가 망하면 더 이상 힘쓰기 힘들다는 이야기가 있을 정도다.)
이래서 그저 자본가들 간의 갈등 밖에 안되는 실체가 없는 거짓 갈등 구도인 미중 갈등에 왜 빠지냐?

참고
1) 중국, 30년전 일본 버블경제와 끔찍하게 닮았다 - 뉴시스
2) 돈 좋아하는 왕서방 이제 세계 자본마저 싹쓸이 - 시사저널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