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Review/Book

평균의 종말

G. B. 2019. 5. 21. 07:00

평균의 종말은 특정 대상을 가지고 평균치를 만드는 것이 왜 문제 있는지 설명한 책이다.
이 책에서는 평균주의가 생겨난 계기와 이에 대한 문제점을 설명하고 평균에 집착하는 사회에 대한 대안적 방안을 마련했다.
이 책에 따르면 평균주의가 생겨난 계기는 19세 케틀레에 의해 size, 출산, 빈곤 등에 대해 수학으로 통계 내서 평균을 만든 게 시초이다.
이에 골턴은 평균 이상 향상하는 게 우월하고(eminent) 그렇지 않으면 저능하다(imbecile)고 했으며 테일러는 산업 혁명 때 비효율성 최소화 시키겠다는 명목으로 표준화 시스템을 만들어 등급제를 실시하면서 평균주의가 탄생했다.
평균주의는 훗날 교육제도에도 영향을 끼쳤다.
그러나 평균에 집착하니 함정이 있었다.
무엇보다도 사람들은 개개인 마다 얼굴, 사이즈, 능력이 다른데 이를 무시하니 어떤 대상에 대해 일반화 시키는 문제가 생겼다.



그래서 저자는 사람들의 개별적인 특성을 존중하고 교육에 대해서는 개개인에 대해 맞춤 학습이 필요하다고 했다.
(덤으로 저자는 대학 학위와 성적대신 자격증과 실력을 중요시 여기고 학생들 한테 자유로운 진로 결정권을 허용해라고 했는데 실력을 중요시 여기는 건 좋으나 자격증은 경우에 따라서는 있어도 쓸모 없는 경우가 있으니 이것에 대해서만은 반박함)

'Review > Book'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쟁에 반대한다  (0) 2019.05.21
차이나프리카  (0) 2019.05.21
당선, 합격, 계급  (0) 2019.05.20
차별의 언어  (0) 2019.05.20
<여자는 야동 보면 안돼?>책을 보다가 발견한 논쟁거리  (0) 2019.05.04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