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mberlynn Reid는 2013년에 활동하기 시작한 유튜브 인사로 초기에는 체중 감소할 생각이었다. 그런데 어떤 방식으로도 체중 감량을 하지 못하고 실패해서 그런지 체중이 오히려 늘어났다. 그래서인지 체중 감소 하겠다며 한편으로는 먹방 영상을 올리는 모순이 생겼다. 이 때문에 Amberlynn Reid를 욕하는 자들이 생겼다. 여기서 텀블러 이용하는 SJW들은 Amberlynn Reid를 무조건 동정하여 그녀에 대해 갈구는 자들을 마녀 사냥하고 있는데 이건 배리나가 비만인에 대한 래디컬 페미니스트한테 이용당한 것과 흡사하다. 즉, 비만인들이 대한 사회적으로 부정적 인식 때문에 그녀를 사회적으로 극단주의자로 만든 셈이다. 그렇다면 그녀는 수많은 체중 감소 시도를 해봤는데도 불구하고 왜 매번 체중 감소..
Fatphobia란 비만인에 대한 기피, 공포, 혐오를 의미하고 Fat shaming은 fatphobia 논리에 기반한 혐오를 뜻한다. Fat shaming의 반의어는 Skinny shaming이라고 한다. 비만인에 대한 혐오의 기원 항상 비만인들이 혐오 대상이 된 건 아니었다. 과거에는 비만인은 이상형이었는데 지금은 모리타니를 제외하면 뚱뚱한 사람을 아무도 이상형으로 여기고 있지 않다. 왜냐하면 그 시기는 절대적 빈곤이 만연한 시기라 뚱뚱한 사람이 부의 상징으로 통했기 때문에 그렇다. 그리고 20세기 중반까지에도 전세계는 식량 부족으로 인한 기아 문제 때문에 애를 먹었다고 한다. 그래서 식량 부족 문제를 타파하려고 대량으로 식량 생산을 해서 현재 사람들이 먹고 남을 정도로 식량이 많아졌다. 그런데 기아..
1.옷의 사이즈가 한정된 나라 한국에서는 Big Size를 위한 옷이 없다. 그래서 이들을 위한 옷가게에 가야 겨우 살수 있다. [참고 기사] 그리고 한국에서는 뚱뚱한 사람 뿐만 아니라 키가 큰 사람, 키가 작은 사람들도 마찬가지로 제대로 된 옷을 구할 수 없다. 미국에서 사람들 사이즈가 사람마다 제각각이라는 것을 인지하고 다양하게 마네킹을 제작했다. [참고기사 1] [참고기사 2] 그런데 한국의 마네킹은 이상적 신체 혹은 평균 체형에만 한정되어 있다. 한국은 워낙 외모지상주의가 만연한데다 의도적으로 신체의 평균에만 집착하니 옷 사이즈가 다양하지 않고 한정되어 있다. 한국에도 플러스 사이즈 모델이 있는데도 말이다. 2.사람들이 이상적인 몸매를 갖는 건 현실적으로 매우 힘들다. 탈코르셋 운동을 한 ..
현재 왜 전 세계 비만 문제가 심각하게 된 걸까? 20세기 중반 까지만 해도 기아 문제가 만연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농업 기술을 향상까지 하면서 곡류, 유지류, 설탕 등을 생산하니 덕분에 2003년에는 지구에 있는 인류들에게 먹고 남을 정도의 식량이 늘어났다. 덕분에 전 세계에 비만 인구가 늘어나면서 비만 인구와 기아 인구가 공존하는 꼴이 됐다. 게다가 책에서는 곡류, 유지류, 설탕이 과포화 되자 이를 처리하기 위해 가공식품을 생산하고 패스트푸드점 같이 프렌차이즈 음식점들이 증가하고 과거와 달리외식의 비율이 늘어났다고 한다. 그래서 미국 이야기도 했는데 사실 미국에서는 패스트푸드점이 아니어도 다른 음식점에서 나오는 음식양이 정말 많다고 한다. (과연 사람이 이렇게 많이 먹을 수 있을까 싶을 정도로 양..
간혹 곰세마리 보고 여성 혐오라고 뭐라하는 자가 있다. 아마도 가족 역할에 대해 남녀 결합해 자녀를 갖는 게 이상적 가정인 양 여겨 한부모 가정, 동성 커플, 1인가구 등을 소외 시키게 하니 그런 것으로 보인다. 곰세마리 가사에는 남자는 뚱뚱해도 되도 여자는 날씬해라고 하는데 이는 건강의 위협 때문에 살 빼야 하는 비만인 남성들과 뚱뚱해서 사회에서 소외 받는 비만 여성에 대한 혐오이다. 게다가 곰세마리에서의 여성은 항상 날씬해야 한다며 다이어트에 지나치게 집착하게 만들어 거식증을 야기하게 만든다. 덕분에 남녀 결합으로 이룬 가정을 이성적 가정인 양 강조하고 비만 남녀에 대한 이중 잣대적 시각을 갖고 있어 비만인, 딩크족, 한부모가정, 동성 커플한테 부정적 영향을 가지게 한다.
- Total
- Today
- Yesterday
- 거짓 갈등 구도
- 코비드19
- 코로나바이러스
- 페미니즘
- incel
- 이슬라모포비아
- 인종주의
- 차별
- 경제
- 워마드
- 범죄
- 적대적 공생 관계
- SJW
- 코로나19
- 혐오반대
- 적대적 공생관계
- 위안부
- 인권
- 젠더 갈등
- 포퓰리즘
- 적대적공생관계
- 북한
- 호모포비아
- 인셀
- 국뽕코인
- 민족주의
- 젠더갈등
- 안티페미코인
- 대안우파
- 페미코인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