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는 과거 LG에 일하면서 한국 업무 문화가 얼마나 문제가 많은지 비판했다. 그가 말하길 한국 업무 문화는 일에 대해 주도하는자, 이를 행하는 자는 따로 있을 정돌 매우 군사적이라 계급이 매우 수직적이고 위계적이라고 했다. 이는 한국 직장 뿐만 아니라 학교에서도 저렇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한국 사회에서는 토론이라곤 볼수가 없다. 그리고 한국에서는 가능하면 직장인들이 일에 목숨걸고 일에 종사하는 자를 이상형으로 여기는데 만약에 장기 근무로 인해 과로로 쓰러지면 언제 일에 복귀할 거냐고 묻는다고 한다. 이는 한국에서 병가 휴직을 마음놓고 못쓰게 하는 잘못된 문화에 기반한 것으로 한국이 얼마나 노동자 권리가 개판인지 실감이 가는 부분이기도 하다. 따라서 이런식의 업무 문화가 비효율적이라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
지금 사람들은 사회에서 경쟁을 하여 힘든 삶을 살고 있다. 그래서 이 책은 이에 대해 비판한다. 책에서 말하길 경쟁에는 구조적 경쟁과 의도적 경쟁이 있는데 구조적 경쟁이 어떤 상황에 따라 승리할지 패배할지 결정한다면 의도적 경쟁은 다른애들과 비교해서 나타나는 개인의 역량에 따라 태도가 결정된다. 그렇다면 경쟁의 요인은 무엇인가? 근본적으로 사회 규범 때문에 있다. 사회 규범에서 나온 경쟁은 양자택일적이고 결과지향적이라 빈부차를 늘리고 불안감을 높여 자존심을 낮춰 학습 능력을 저하시켜 사회에 악영향을 끼친다. 사실 라이벌도 경쟁에서 나타난 것으로 다른 애들과 비교하면서 신경증이 생기기 쉽다는 것을 인지해야 한다. 그중 특히 전쟁은 경쟁이 극단화된 것으로 타인에 대한 존중이 없어서 인간관계가 저하되고 어떤 ..
- Total
- Today
- Yesterday
- 페미니즘
- 대안우파
- 거짓 갈등 구도
- 적대적 공생관계
- incel
- 위안부
- 이슬라모포비아
- 혐오반대
- 코로나19
- 적대적공생관계
- 인셀
- 포퓰리즘
- 코비드19
- SJW
- 워마드
- 인종주의
- 북한
- 안티페미코인
- 페미코인
- 젠더갈등
- 젠더 갈등
- 민족주의
- 차별
- 경제
- 호모포비아
- 범죄
- 적대적 공생 관계
- 국뽕코인
- 인권
- 코로나바이러스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